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닫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후 로그인 유지 시간이 만료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자동 로그아웃 안내
닫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인 유지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다시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작성하신 청원내용은 복사해서 다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원24
청원검색
전체메뉴
취소
검색
청원24
취소
검색
청원 안내
청원 소개
청원 처리 절차
그 밖의 사항
자주 하는 질문
청원하기
일반청원
공동청원
작성 중인 청원
나의 청원
나의 청원 현황
관심 청원
알림 설정
회원정보 관리
공개청원
공개청원 보기
청원 통계 보기
로그인
회원가입
청원검색
전체메뉴 닫기
공개청원 보기
검색
상세검색
검색기간
~
6개월
1년
2년
청원제목
청원내용
청원기관
진행상태
전체
의견수렴중
처리중
종결
공개청원이 총
4,273
건 있습니다.
최신순
참여순
카드형
목록형
법무부
외국인 환자 및 보호자 입국 절차의 합리적 개선을 요청합니다
청원취지: K-뷰티, K-팝 등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의료 목적 입국 과정에서 불합리한 절차와 응대가 반복되면서 환자와 보호자 모두 불편을 겪고 있으며, 한국 의료에 대한 신뢰도에도 큰 손실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청원내용: 1. 외국인 환자와 보호자가 병원 치료 및 수술 목적으로 입국하는 경우, 보다 합리적인 심사 기준을 마련해 주시기 바랍니다. 2. 환자 보호자가 단순 동행임에도 불구하고 ‘여행 계획이 없다’는 이유로 입국 불허를 당하는 사례가 개선되어야 합니다. 3. 출입국 관리 과정에서 정확한 통역 지원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오해와 불이익을 방지해 주십시오. 4. 이의신청 제도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서면만 요구하거나 형식적으로 응대하는 관행을 개선해 주십시오. 5. 의료 관광 국가로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 및 지원을 요청드립니다. 청원인: 성명 :민 홍규 직업: 의료기관 종사자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법무부
사기 가해자가 끝까지 피해를 배상하도록 제도를 마련해 주십시오
저는 27살에 세상을 떠난 아들의 억울함을 안고 살아가는 피해자 가족입니다. 제 아들은 고등학교를 갓 졸업하고 사회에 첫발을 내딛자마자 사기 피해를 당했습니다. 세상 물정 모르는 젊은 나이에 믿었던 사람에게 속아 수천만 원을 잃고, 끝내 그 고통 속에서 짧은 생을 마감했습니다. 사기는 단순한 금전 피해가 아닙니다. 한 사람의 삶을 송두리째 빼앗고, 그 가족에게는 평생의 상처와 절망을 남깁니다. 그러나 현실은 너무나 잔인합니다. 사기범들은 형사처벌만 받고 나오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지만, 피해자는 끝없는 고통 속에 방치됩니다. 가해자가 피해금을 배상하지 않아도 강제할 방법이 마땅치 않습니다. 결국 범죄자의 인권만 보장되는 사회, 피해자는 평생 고통받는 사회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반드시 바뀌어야 합니다. 저와 같은 피해자가 더는 나오지 않도록 제도 개선을 간절히 요구합니다. <제안합니다> 1. 사기 가해자 근로소득 관리시스템 도입 . 가해자의 급여·사업소득을 국가가 추적·관리하여, 강제로 공제해 피해자에게 배상하도록 해주십시오. 2. 최소 생활비만 보장, 나머지는 피해 변제 . 가해자가 사회로 복귀해도 피해자에 대한 배상을 최우선으로 하여, 조속한 피해 회복이 가능하도록 해주십시오. 3. 타인 명의 급여 지급 차단 및 신고 포상제 . 가해자가 가족이나 지인을 통해 소득을 은닉하지 못하도록 제도를 정비하고, 이를 신고한 시민에게는 포상금을 지급해 은닉 행위를 근절해야 합니다. - 간절한 호소 저의 아들은 사기 피해로 인해 삶이 무너졌습니다. 저는 부모로서 그 억울함을 안고 살아갑니다. 더 이상은 사기 피해자가 평생 고통 속에 방치되지 않도록, 정부와 법무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제도를 마련해 주십시오. 사기범죄는 형사처벌로 끝나서는 안 됩니다. 끝까지 피해자에게 배상하는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 주십시오.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법무부
상가임대차보호법
상가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은 법으로 보호받는 국민이고 임대인은 보호받지못하는 법 국민이 아니라 보는법입니다. 1.임차인에게 과도하게 유리한 구조 계약갱신요구권이 최대 10년 보장되면서, 건물주는 사실상 세입자를 마음대로 내보낼 수 없습니다.심지어 10년이 지난 후에도 권리금회수 보장이 주어지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말은 한번 임대를 주게되면 평생 다시 나의 재산을 돌려받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건물주가 건물을 팔거나 용도를 바꾸고 싶어도 임차인이 버티면 불가능합니다. 결과적으로 **재산권(헌법상 권리)**이 침해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2. 권리금 회수 기회 보호 조항의 불합리 임차인이 새 임차인을 구해 권리금을 받고 나가려 할 때, 임대인은 이를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할 수 없습니다. 예를들어 내건물에 술집이 들어 오는것이 싫은데 기존 임차인은 술집을 할려고 하는 다음 임차인을 데리고 오면 이를 거절할시 권리금회수방해로 봅니다. 즉, 사적 재산을 이용한 임대인의 자유로운 계약권 제한 문제가 생깁니다. 3. 월세 인상 제한 (5% 상한제) 물가, 금리, 세금이 올라 임대인 부담이 커져도, 월세는 5% 이상 못 올립니다. 이5%마저도 임차인이 동의해야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금리가 높은 시기에는, 임대인의 금융비용·유지비 부담이 커지는데 임대료 현실화가 어렵습니다.임대인에게는 아무런 혜택도 없이 이런법을 적용시키면 내가 투자하고 대출받아서 만든 나의 재산은 개인의 것입니까 나라의것 입니까?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면서 까지 임차인에게 유리한 이런법은 내가 자유민주주의 국가 자유경제의 국가가 아니라 공산주의 국가에 살고있다고 생각합니다 임차인 보호 취지였지만, 결과적으로 건물주가 손해를 떠안는 구조입니다. 4. 상가임대차보호법의 지역별·규모별 불균형 법 적용 범위가 일정 보증금 기준 이하 상가에 국한되지만, 대도시와 지방의 임대 시장 상황 차이를 반영하지 못합니다. 이슈가 되는 지역은 각지역의 주요 요지 즉 상가임대료가 비싸게 형성되있는 곳에서 일어나는 일이지 작은 도시 변두리지역의 상가는 여건이 많이 틀립니다. 임대인도 엄연한 부동산임대업이라는 사업자를내고 사업을 하는 사람이고 상가를 임차하여 장사를 하는 세입자도 많은 비용을 들여 사업을 하듯이 저역시도 임대업이라는 사업을하기 위해 많은 금액을 대출받고 투자하여 사업을 하는 입장입니다. 저는 어느 누가 약자라기보다는 사업자와 사업자 입장으로 바라보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임차인이라고 무조건 약자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임대인보다 경제적으로 더많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그리고 갑질이라는 말은 오래전 이야기 입니다. 요즘은 이러한 법을 이용하는 을질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저희같이 변두리 건물하나에 임대를하는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임차인에게만 유리한 법입니다. 또 이러한 이유때문에 좋지 않은 조건(임대료를 처음 장사하는 젊은 사장님들에게 당분간 싸게 해주고 싶어도 그럴수 없음) 으로 임대를 절대로 낼수 없기에 비싼금액으로 임대를 처음부터 놓게 되는데 이는 오히려 정말로 영세한 사업자에게 처음 계약시 불리한 조건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적은 금액으로는 몇달을 비워도 세를 주지 않는경우도 허다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노후건물을 사서 많은 비용을 들여 건물유지보수에 노력하고 없던 주차장도 만들었으나, 승계받은 임차인이 5% 임대료 인상을인정하지 않아 너무 작은 금액으로 임대료를 받고 있습니다.물론 차임증액청구소송이라는것도 있지만 3만원 인상을 위해서 어느누가 비용을 들여가며 소송을 한단 말입니까?현재 임대료60만원 주변의 다른 자리가 안좋은 상가도 100만원 이상입니다. 이러한경우 10년이 지나야하고 10년후에도 권리금회수 보장기회가 있기에 내가 원하지 않는 세입자나 업종이 들어오는것을 거절하거나 주변가게에 맞게 월세를 올리면 권리금 회수 방해로 보기 때문에 순순히 따를수 밖에 없고 한번 임대를 주게되면 평생 돌려받을 길이 없으니 이것이 오히려 임대인의 재산권을 무시하는경우입니다 권리금은 말그대로 임차인들의 문제이고 본인이 그자리가 욕심나서 서로 주고 받고 들어온 금액때문에 왜 임대인이 피해를 보는지 모르겠습니다. 차라리 권리금을 법적으로 없애는것이 나은것 같다는 생각까지 듭니다. 우리 임대인들은 지금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받고 있고 이러한 법은 없어져야됩니다.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법무부
E계열 비자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이적동의서’ 제도의 전면 폐지 청원
현재 한국에서 E-2 비자를 포함한 E계열 비자를 가진 외국인 근로자들은 새로운 직장으로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기존 고용주가 발급하는 ‘이적동의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적동의서 발급 여부는 전적으로 고용주의 재량에 달려 있으며, 고용주에게 이를 발급할 법적 의무가 없습니다. 이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들은 부당한 처우를 받더라도 계약 기간이 끝날 때까지 감내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며, 이는 직업 선택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가 초래하는 폐해는 E-9 비자 소지자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E-9 비자의 경우 관련 조항이 법률에 규정되어 있어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국회의 입법 절차가 필요합니다. 반면, E-9을 제외한 E계열 비자 소지자들의 경우 이적동의서 규정은 법무부 훈령(시행규칙)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입법 절차가 아닌 행정적 조치만으로도 즉시 개선이 가능합니다. 특히 E계열 비자는 한국이 필요로 하는 고급 인력에게 부여되는 비자입니다. 이들은 교육, 연구, 전문 분야 등에서 한국 사회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의 안정적이고 공정한 근무 환경은 국가 경쟁력과 국제적 신뢰 확보에도 직결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적동의서 제도는 이들을 고용주의 전권에 종속시키고, 부당한 처우를 감내하게 만드는 불합리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지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도 심각한 손실을 초래합니다. 최근 대통령께서 외국인 근로자의 임금 체불 및 불공정 대우 문제를 바로잡으라고 지시하신 바 있습니다. 이러한 기조에 맞추어, 외국인 고급 인력들의 권익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적동의서 제도의 일부 개선이 아니라 전면 폐지가 필요합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청원합니다. E-9 비자를 제외한 모든 E계열 비자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 적용되는 이적동의서 제도를 전면 폐지할 것. 법률 개정이 필요한 E-9 비자의 경우 국회의 논의를 촉구하되, 우선적으로 법무부 훈령만으로 즉시 개선이 가능한 E계열 비자 제도의 폐지를 조속히 시행할 것. 이를 통해 한국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고급 인력들이 안정적이고 공정한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 이적동의서 제도의 폐지는 외국인 근로자 인권 보호뿐만 아니라 한국의 교육·연구·전문 인력 수급의 안정성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는 조치가 될 것입니다. 정부가 이 문제의 시급성과 행정적 실행 가능성을 고려하여, 빠른 시일 내에 제도 개선을 추진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합니다. --- Currently, foreign workers holding E-series visas, including the E-2 visa, are required to submit a “Letter of Release” issued by their previous employer in order to transfer to a new workplace. Whether or not this letter is issued is left entirely to the employer’s discretion, and employers are under no legal obligation to provide it. As a result, foreign workers often have no choice but to endure unfair treatment until the end of their contract, which severely infringes on their freedom of job mobility.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is system also apply to E-9 visa holde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E-9 visa, the relevant provisions are stipulated in law, meaning that improvement requires legislative procedures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By contrast, for all other E-series visa holders, the rules on the Letter of Release are grounded in the Ministry of Justice’s administrative ordinances (ministerial directives). This means the system can be reformed immediately through administrative measures without the need for new legisl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E-series visas are granted to highly skilled professionals that South Korea needs. These individuals contribute significantly in fields such as education, research, and other specialized areas. Ensuring that they are treated fairly and able to work under stable conditions is not only a matter of protecting their rights but also of strengthening South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nternational credibility. Despite this, the Letter of Release system subjects them to the unilateral power of employers, forcing them to endure unfair treatment. This creates losses not only for the individual workers but for the country as a whole. Recently,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instructed the government to address issues of wage arrears and unfair treatment of foreign workers. In line with this policy direction, protecting the rights of foreign professionals requires not just minor reform but the complete abolition of the Letter of Release system. Therefore, we petition as follows: Abolish the Letter of Release system for all E-series visa holders, excluding the E-9 visa. While legislative action is required for E-9 visa holders, we call upon the government to immediately abolish the Letter of Release requirement for other E-series visas through administrative reform of the Ministry of Justice’s directives. Ensure that highly skilled foreign professionals, who play an essential role in South Korea, can work in fair and stable conditions without being subjected to unnecessary restrictions. The abolition of the Letter of Release system will not only protect the human rights of foreign workers but also strengthen South Korea’s education, research, and professional sectors while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We strongly urge the government to act swiftly, given both the urgency of the matter an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change through administrative measures.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법무부
외국인 노동자 허용합시다.
현재 불법체류 형태의 외노자 전체적인 단절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또한 불체 외노자가 일을하는곳이 대다수가 한국사람이 힘들어서 기피하는 직종에 많이 있습니다. 어차피 일할사람은 필요하고 근본적이 단절이 어렵다면 오히려 외노자의 취업을 인정하고 그에따른 정상적인 세금을 납부하도록 하는게 어떨가 생각 됩니다. 불법 외노자들이 일하는 사업장도 살리고 세금도 확보할수 있는 방안이라 생각 되어 집니다. 현재 불체자들도 출입국 사무소에 자진 신고하게 하여 일정기간이 되었든(3~5년단뒤 갱신) 정식적으로 일할수 있게 하여주면 될것 같습니다.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건강을 위해 소비기한에서 유통기한으로 변경 바람
기존의 유통기한은 해당 기간이 넘으면 판매하지 말라는 의미를 갖고 있었고 소비기한은 이 기간이 넘으면 먹지 말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 둘이 병행 표기되지 않고 유통기한 시스템을 폐기하니 기업은 소비기한이 다 되기 직전까지 상품을 판매하고 오픈형 냉장고 같은 곳에서 해당 제품을 구매할 경우 이미 상품이 변질되어 있는 경우가 너무 많아졌고, 해당 상품을 먹고 탈이 나는 경우가 자주 발생했습니다. 국민의 건강을 위해서 다시 유통기한을 표기했으면 좋겠습니다.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개선
한국문화가 글로벌화되고 있는 이 시기에 한국어, 한글도 또한 주목을 받고있습니다. 한국어와 한글은 시대에 따라서 꾸준히 변화해왔으며 지금 세계 곳곳에서 한국어를 배우려고 하고 있고, 그에 발맞춰 한글도 개선돼야합니다. F=ㅍㅎ R=ㄹㄹ V=ㅂㅇ Z=ㅈㅇ 이렇게 외국어의 다양한 발음을 한글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개선하면 좋겠습니다. 한류가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고 한국어도 주목을 받고있는 지금, 한글도 변화가 필요합니다.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국립국어원
잘못된 외래어 표기법(일본어) 좀 바꿔주세요.
일본어의 한국어 표기법이 실제 발음과 다른 게 많아서 너무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일본어는 한국어보다 오히려 영어가 실제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마츠다(mazda, matsuda) - 마쓰다 킨키(kinki) 지역 - 긴키 지역 타코야키(takoyaki) - 다코야키 츠나미(tsunami) - 쓰나미 자장면보다 짜장면이라고 하는 사람이 훨씬 더 많은 것처럼 일본어도 '다코야키', '마쓰다'라고 하는 사람보다 '타코야키', '마츠다'라고 하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특히 일본어 학습서나 일본 관련 서적을 출판할 때 정확한 발음을 알고 있어도 어쩔 수 없이 틀린 발음을 책에 표기해야 할 때마다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이 원망스럽습니다. 몇년 전 영어와 중국어는 실제 발음에 가깝게 외래어 표기법이 바뀐 걸로 아는데, 왜 일본어 표기법은 바뀌지 않는 걸까요? 일본어 발음이 한국어로 표기하기에 어려워서 그런 거라면 이해할 수 있지만 전혀 어려운 발음이 아닌데, 일부러 틀린 발음으로 적어야 하는 현재의 일본어 표기법은 바뀌어야 합니다.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환경부
담배가격 올리고 길거리 도보중 흡연금지
도로 길거리를 볼때마다 쓰레기의 50%이상이 담배꽁초인데 담배피는 사람의 습관이 담배꽁초와 담배각를 그냥 버리는데 아주 당연시 되고 있는게 정말 한탄스럽습니다 유흥가는 완전 길거리가 재떨이가 됬는데 정말 볼수없는 꼴불견이 말이 않나옵니다 담배가격도 곱절로 좀올리고 담배관련 쓰레기 버리는것좀 벌금좀 받아서 세금좀 지대로 걷고 해서 일자리도 만들구요 또한 강가 주변, 저수지, 농노주변 한적한 시골 도로에는 무단투기 쓰레기와 농기계등 아무도 치우지 않고 있으니 이건 분기라도 정리좀 하는게 좋은데요 나라의 쓰레기를 너무 함부러 버리는데 시골은 마을 방송좀 해주고 등등 많은 방법이 있는데 개선좀 해주세요 저는 이런 쓰레기관련 법인데 치우는것 보다 방법을 개선해서 꾸준히 해결 해주세요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국민권익위원회
온라인 국민신문고의 기피부서 지정에 관하여
온라인 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중 기피부서 지정에 대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곳만 지정할 수 있으므로 처리부서를 우회하여 민원처리 결과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규정을 재정비하여야 합니다. 처리부서 기피 신청이 있는 한 기피 부서에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면 안됩니다. 또한 처리부서 기피 신청으로 인하여 민원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그에대한 정당한 이유를 회신하면서 민원 내용을 민원인에게 돌려보내는편이 낫습니다. 위에 처럼 민원을 돌려보내는 경우에 적극행정, 소극행정 신청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겠고 이런 경우 종전에 (이전 민원을 첨부하여야함) 처리부서 기피 신청은 유지하여 지금보다 투명하고 공정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정비가 필요합니다. 이해를 돕고자 3줄 요약 민원 처리부서의 기피신청 효력 강화 민원 처리 기피신청 부서의 복수 선택 소극행정, 적극행정 신청시 첨부한 이전 민원의 처리부서 기피신청 유지
의견수렴기간:
2025.09.18.~2025.10.17.
D-30
경기도 광주시
한아람공원 녹지 및 시설 관리 미흡
1. 수목 생육 관리 미흡: 보행시 수목의 처짐으로 인한 이용 불편, 수목지하고 조정 필요, 고사목 다수 발생(생육 환경 개선 및 재식재) 잔디광장 보행으로 인한 고사(재식재 및 관목 식재 등을 통한 이용 통제 필요) 녹지 침하 구간 흙보양 및 잔디 식재 관목 관리 미흡 2. 인조화강석블럭(보도구간): 침하구간 다수 발생 우천시 물고임 구간으로 인해 통행 제한 3. 화장실앞 판석포장: 해당구간은 3년전 집수정 보수 공사시 장비진입으로 인한 파손 구간임(재차 민원에 불구하고 미처리 사항임) 4. 계단: 블럭 보수 자재 기존 자재와 상이함. 미관을 고려한 재시공 필요 5. 플랜터: 두겁석 파손자재 방치, 접착제로 붙여놓고 방치함. 미관을 고려한 재시공 필요 6. 트렌치: 화장실 및 파고라 구간의 트렌치 침하(약 3cm)되어 있음. 7. 화장실 청소 미흡: 시설 및 관리가 많이 미흡하여 관리 업체 교체 필요. 8. 화장실 앞 열주등: 준공 후 지금까지 미작동, 해당 시설 미운영시 열주등 제거 필요. 9. 마운딩 석재 탈락 ㅡ> 해당 구역은 전체적인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보여집니다. 자세한 검토 및 개선 사항에 대한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요청드립니다.
의견수렴기간:
2025.09.17.~2025.10.16.
D-29
경기도 광주시
태전동 교통 체증(출퇴근 시간)
태전동 8년차 거주 중인 주민입니다. 출근시간 7시 30분이 되면 항상 교통체증이 심하여 동네가 마비가 되어 경찰의 도움 요청을 매번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통 통제 및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에만 도로에 나와 통제를 하고 있습니다. 해당 구간은 3번국도의 진입 램프로 이어져 차량이 많이 집중되는 구간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45번국도는 2차선으로 광주시청/성남/여주 방면으로 이용하는 차량들 중 여주 방면으로 이동 하는 차량이 약 7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교통 체증이 심하여 매번 광주시청에 민원을 청하면 서울세종간고속도로 개통하게 되면 풀릴 것으로 예산된다고 하셨지만 현재 개통 후에 성남방면의 교통은 전보다 교통체증이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해당 사항에 대한 개선책과 교통 개선 방안에 대한 답변을 알고 싶으며, 타지역의 경우 교통 개선을 위해 최소한으로 교통 경찰이 나와 교통 통제를 진행하는데 해당 지역의 행정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행정력이 안되는 사항이라고 하면 광주시는 행정을 포기하고 타 행정구역에 이관을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시시죠. 광주시는 최근 10년간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퇴행적 행정을 이어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조치 후행정 이게 시민을 위한 보답이라고 생각됩니다. 상식적인 답변은 받지 않겠습니다. 자세한 답변을 요청드립니다. 1. 교통 체증을 해소하기 위한 우회도로 검토 및 개선 방안 2. 도로확장, 지하 및 지상 램프를 통한 개선 방안 3. 대중교통(지하철) 설치 4. 교통경찰 배치 등 세부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드립니다. 교통량 확인 및 개선 방안에 대한 모니터링 후 정확한 자료를 요청드립니다.
의견수렴기간:
2025.09.17.~2025.10.16.
D-29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끝 페이지